2025년부터 청년도약계좌의 기준이 변경되면서 정부 지원금이 확대되어 더 많은 청년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청년도약계좌를 고민 중이라면, 이 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!
그럼, 가입 조건과 신청 방법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!
목차
1.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
구분 | 가입 조건 |
나이 | 가입일 기준 만 19세~34세 이하 (군 복무 기간 최대 6년 제외 가능) |
소득 | 연봉 7,5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,300만 원 이하인 청년 |
가구소득 |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인 경우 가입 가능 |
금융소득 | 최근 3년 동안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니어야 함 |
위 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청년도약계좌 가입이 가능합니다.
2.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
신청은 금융기관을 통해 아래의 순서대로 진행되며, 일정 기간을 두고 신청이 진행됩니다.
1️⃣ 개인요건 및 가구원 최신화 → 2️⃣ 가구원 동의 → 3️⃣ 가입요건확인 진행경과 → 4️⃣ 일시납입 정보확인 → 5️⃣ 유지심사
✔️ 신청자의 나이와 소득 조건을 충족한 뒤 가구원이 기한 내에 동의를 완료해야 심사가 가능합니다.
✔️ 군 복무로 인해 나이를 초과했거나 가족 중 외국인이 있는 경우 등 추가 증빙서류 제출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.
3. 청년도약계좌 변경 사항
✅ 기여금 지원 확대 : 기존 월 최대 2.4만 원에서 최대 3.3만 원까지 지원 확대 (개인소득 기준에 따라 차등 지급)
✅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 강화 : 기존에는 중도 해지 시 비과세 혜택이 사라졌지만, 3년 이상 유지하면 중도 해지 시에도 비과세 혜택 유지 & 기여금 60% 지급
✅ 성실 납입 시 신용점수 가점 : 2년 이상, 800만 원 이상 납입하면 개인 신용평가 점수 5~10점 가점 (KCB, NICE 기준)
✅ 부분 인출 가능 : 2년 이상 유지하면 납입 원금의 40%까지 중도 인출 가능
4. 청년도약계좌란?
✔️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책 금융상품으로, 5년 동안 매월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저축할 수 있습니다.
✔️ 정부가 매월 최대 3.3만 원을 추가로 지원하며, 이자 소득에 대한 세금도 면제되는 혜택이 있습니다.
상품명 | 청년도약계좌 |
가입 기간 | 60개월 |
납입 금액 | 1천 원 ~ 70만 원 내 매월 자유롭게 납입 |
금리 * | 취급기관 자율결정 (3년 고정, 2년 변동) |
* 은행연합회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(취급기관별 금리 상이)
은행별 금리 확인, 은행연합회 홈페이지 바로가기
청년도약계좌 채팅상담 바로가기
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바로가기
☎️청년도약계좌 콜센터 : 1397 → 바로연결번호 3번
✔️ 중도해지 전용 콜센터 : 1397 → 바로연결번호 3번 → 2번
5. 주의 사항 🚨
- 은행마다 금리가 다르므로 우대 금리가 높은 곳을 선택해 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- 월 납입액을 최대한 높게 설정하면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목돈 마련에 도움이 됩니다.
- 부분 인출이 가능하지만, 만기까지 유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므로, 중도 인출은 신중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자동이체를 설정하면 추가 우대 금리를 받을 수 있으니 꼭 확인해 보세요!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주택드림 청약통장: 청년 무주택자의 주택 마련 지원 혜택 (0) | 2025.03.27 |
---|---|
국민취업지원제도 신청 방법 및 지원 내용 (0) | 2025.03.26 |
치매 치료관리비 지원 신청 방법 및 대상 (0) | 2025.03.25 |
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신청 방법 및 조건 (0) | 2025.03.24 |
국민내일배움카드 지원 대상, 신청 방법 등 총정리 (0) | 2025.03.23 |
다자녀가구 자동차 취득세 감면 혜택 (0) | 2025.03.22 |
건강생활실천지원금제 시범사업 (0) | 2025.03.21 |
자동차 채권 환급금 조회 방법 (0) | 2025.03.09 |